본문 바로가기
뇌경색지원

CRE/CPE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CPE(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장내세균) 항생제내성균

by 빛나는맛과탕 2023. 12. 16.
728x90
반응형

 

CRE :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PE :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장내 세균과에 속하는 세균

 

카바페넴은 기존 세팔로스포린 등의 베타락탐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세균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업그레이드 항생제로, ESBL (extended spectrum beta-lactaamase)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으므로

ESBL 생성균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ESBL은 E.coil나 Klebisella spp와 같은 그람음성균에서 생산되는 B-lactamase (베타락탐 항생제 분해효소)의 일종으로, 베타락탐 항생제를 가수분해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원인물질이다. B-lactam 항생제로는 Penicillin, Cephalosporin,

Carbapenem, Monobactam 등이 있다.

 

카바페넴의 임상사용

 

Imipenen : 1985년 미국 승인 하루 4회 투여

 

Meropenem : 1996년 미국 승인 하루 3회 투여 

 

Ertapenem : 1회 정맥 또는 근육 주사

 

Doripenem : 작용 스팩트럼 meropenem과 매우 유사

 

Panipenem/betamipron 1993년 일본 승인

 

Biapenem 2001년 일본 승인

 

Tebipenem 2015년 일본 승인


CRE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정의

 

카바페넴(Cabapenem)은 세팔로스포린이나 광범위 베타락탐제(beta-lactamase)에 내성을 가진 세균들에 대한 중요한 항생제 중 하나이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은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일으키는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ae 등에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세균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카바페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의 출현은 거의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박테리아(superb acteria, extreme drug resistance)의 출현에 한걸음 다가서는 것이다.

 

한 줄 설명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세균
증상 NDM-1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에 감염되면 이 항생제에
감수성 있는 장내세균 감염증과 동일하게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등을 일으킨다.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주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하거나 면역체계가 저하된 중증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키며 일상생활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치료 가능한 다른 항생제가 있다.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일반적으로 CRE에 감염된 환자 또는 병원체보유자와의 접촉(특히 상처나 대변)을

통해 사람 간 전파가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면 인공호흡기, 중심정맥관, 도뇨관과 같은 의료장치 사용 또는

부상이나 수술로 인해 CRE균이 몸 안으로 들어갔을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 CRE 전파 예방을 위한 지침은 무엇인가요?

 

- CRE 환자(병원체보유자 포함)와 접촉하기 전 ․ 후에 물과 비누 또는 알코 올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생

- CRE 환자(병원체보유자 포함)의 방에 들어가기 전 장갑과 가운 착용

- CRE 환자(병원체보유자 포함) 1인실 격리 또는 CRE 환자(병원체보유자 포함)끼리만 병실을 공유

- 의료용품(혈압계, 체온계 등)은 가능한 환자 전용으로 사용 및 전담 의료 진 배치

- CRE 환자의 방에서 나오기 전 장갑과 가운 탈의 및 손위생

- 필요시에만 항생제 처방

※ 세부 사항은 2017년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을 참고하여 감염관리

 


 

집에서 CRE감염 환자를 간호해야 할 때, 간호제공자가 주의 할 점 은 무엇인가요?

 

- 상처 접촉 후, 화장실 사용을 도운 경우, 대변을 치운 후 반드시 손위생

- 환자의 의료장치(도뇨관 등)를 다루기 전·후 손위생

- 동일한 간호제공자가 2명 이상의 환자를 간호할 때는 접촉주의 준수가

더욱 더 중요하며 환자별로 개인 물품을 사용하도록 함


 

728x90
반응형

'뇌경색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가락 재활 운동 기구  (0) 2024.02.14
욕창 치료법  (3) 2024.01.19
뇌경색이란?  (4) 2023.12.11
장해급여란? 간병급여란?  (0) 2023.11.14
휴업급여 및 상병보상연금  (4) 2023.11.14